29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7항. 복음서에 연옥을 증명하는 말씀이 있다고 한다 8항. 빌립보서와 계시록과 마카비후서에서 9항. 고린도전서 3장에 있는 결정적인 귀절 10항. 초대교회에 호소하는 것도 로마 교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292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23)-제21문
|
29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면죄부의 교리는 오류이며 그 영향은 유해하다. 1-5) 1항. 로마교회의 면죄부와 그 해독 2항. 면죄부는 성경에 배치된다 3항. 권위자들은 면죄부와 순교자들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는다 4항. 반대자들의 성경해석을 반대함 5항.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은혜의 통일성과 포괄적 활동을 방해한다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6항. 연옥설은 논박할 필요가 있다
|
290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22)-제20문
|
28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33항. 보복의 심판은 벌하기 위한 것이며 징계의 심판은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34항. 하나님의 징계를 받는 신자는 낙망하지 말라 35항. 다윗이 받은 벌 36항. 벌에 대한 배상으로서의 선행 37항. 죄인이었던 여인 38항. 로마교회 교리는 교부들의 권위를 근거로 삼을 수 없다 39항. 스콜라 학자들은 교부들의 교훈을 부패시킨다
|
288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21)-제19문
|
28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28항. 소죄와 대죄 29항. 죄가 용서되면 벌도 면제된다 30항. 그리스도의 특별 희생만이 벌과 죄책을 제거할 수 있다 31항. 그릇된 해석을 폭로함 : 하나님의 심판에는 처벌적인 것과 교정적인 것이 있다 32항. 하나님의 보복의 심판과 징계의 심판은 목적이 전연 다르다
|
286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20)-제18문
|
28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22항. 열쇠의 권한을 그릇되게 쓰는 것과 바르게 쓰는 것과의 차이 23항. 그릇된 주장을 폭로함 24항. 요약 25항. 천주교의 교리를 개관하며 논박함 (그리스도의 은혜만이 죄에 대한 진정한 보속을 제공하며 양심에 평화를 준다, 26-27) 26항. 그리스도는 완전한 보속을 제공하셨다 27항. 로마 교회의 교리는 그리스도의 영광을 탈취하며, 양심의 확신을 일소한다
|
284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9)-제17문
|
28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7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것은 무한한 고통을 준다 18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데서 오는 악영향 19항. 비밀 고백을 비평함 20항. 열쇠의 권한에 호소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21항. 사제가 매고 푸는 것은 불확실하다
|
282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8)-제16문
|
28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11항. 온 회중이 죄를 고백함 12항. 영혼의 치료와 사적고백 13항. 원망을 제거하기 위한 사적 고백 (열쇠의 권한과 죄의 사면, 14-15) 14항. 열쇠의 권한 : 그 성격과 가치 15항. 고백에 대한 천주교 교리의 요점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6항. 모든 죄를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열람중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7)-제15문
|
27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고백과 통회에 관한 스콜라 교리와 그 성경적 근거를 검토함, 1-6) 5항. 나사로를 풀어준 것을 곡해한다 6항. 성경적인 고백 (비밀 고백은 후대에 생겼다는 증거, 7-8) 7항. 고대 교회에는 의무적인 고백이 없었다 8항. 크리소스톰은 사람에게 고백하라고 명령하지 않는다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9항. 하나님 앞에서 고백함 10항. 사람들 앞에서 죄를 고백함
|